김영한님이 강의하신 인프런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2 강좌를 학습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소스코드는 Github를 참고해주세요
Gradle 의존관계 보기
./gradlew dependencies --configuration compileClasspath
Docker MySQL 설치
docker run -d --name test_mysql -p 3306:3306 -e MYSQL_ROOT_PASSWORD=admin007! mysql:5.7 --character-set-server=utf8mb4 --collation-server=utf8mb4_unicode_ci
엔티티 설계시 주의점
1.가급적 Setter
를 사용하지 말자
2.모든 연관관계는 지연로딩(Lazy)
으로 설정하자
- Fetch Join, 엔티티 그래프로 최적화
- XToOne 매핑은 기본 패치 전략이 Eager 기본값
3.컬렉션은 필드에서 초기화 하자
4.테이블, 컬럼명 생성 전략
준영속 엔티티 수정 방법
준영속 엔티티는 영속성 컨택스트가 관리하지 않는 엔티티를 말한다
1.변경 감지(Dirty Checking) 기능 사용
@Transactional
public void update(Long id, int newPrice) {
A a = em.find(A.class, id); // 식별자로 엔티티 조회
a.changePrice(newPrice); // 데이터 수정
}
2.병합(Merge) 사용
병합은 준영속 상태의 엔티티를 영속 상태로 변경할 때 사용하는 기능
@Transactional
public void update(Item newItem) {
Item mergeItem = em.merge(newItem);
}
변경 감지 기능을 사용하면 원하는 속성만 선택해서 변경할 수 있지만, 병합을 사용하면 모든 속성이 변경된다.
병합시 값이 없으면null
로 업데이트 될 위험이 있다. 병합은 모든 필드를 교체하기 때문이다.
API 개발 고급
지연로딩과 조회 성능 최적화
Jackson-DataType-Hibernate5 Module
지연로딩으로 설정된 엔티티를 API에서 내려줄 때, Jackson이 데이터를 변환하다가 알 수 없는 타입이라는 에러가 발생한다. 이 때, jackson-datatype-hibernate5
모듈을 추가하고 Bean 등록을 하게 되면, 지연로딩으로 설정된 프록시 엔티티를 null 값으로 설정한다.
이 모듈을 사용하기 전에 앞서서 엔티티를 API에서 DTO 형태로 사용했다는 점은 큰 문제점이다. API에서 클라이언트로 내려주는 데이터는 DTO로 변경해서 내려보내야 한다. 엔티티를 사용하게 되면, 장애가 발생하거나 사이드 이펙트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Maven
<dependency>
<groupId>com.fasterxml.jackson.datatype</groupId>
<artifactId>jackson-datatype-hibernate5</artifactId>
<version>2.10.2</version>
</dependency>
Gradle
implementation 'com.fasterxml.jackson.datatype:jackson-datatype-hibernate5'
Hibernate5Module Bean 등록
@Bean
Hibernate5Module hibernate5Module() {
Hibernate5Module hibernate5Module = new Hibernate5Module();
// 강제로 지연로딩 해서 엔티티 정보를 가져오도록 설정 한다.
hibernate5Module.configure(Hibernate5Module.Feature.FORCE_LAZY_LOADING, true);
return hibernate5Module;
}
N+1 문제
첫 번째 목록을 조회하는 1번의 쿼리와 그 외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서 N번의 쿼리가 실행되는 문제를 N+1 문제라고 한다.
아래의 코드 경우에는 주문 조회 1번, 회원 조회 N번, 배송 조회 N번이 발생한다. 주문 조회 결과 값이 2라고 가정한다면, 최악의 경우 1(주문) + 2(회원) + 2(배송) = 5
총 5번의 쿼리가 실행된다.
앞에서 최악의 경우라고 말한 것은 지연로딩은 기본적으로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먼저 조회하므로 이미 조회된 경우에 쿼리를 생략한다. 만약 가져온 회원 정보가 이미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회원 정보를 조회하는 쿼리를 실행하지 않지만, 최악의 경우에는 매번 데이터베이스에 회원 정보를 조회하는 쿼리를 실행할 수 있다.
@GetMapping("/api/v2/simple-orders")
public List<SimpleOrderDto> ordersV2() {
// Order 조회 SQL 1번 실행 -> 2개 주문서 반환
List<Order> orders = orderRepository.findAllByString(new OrderSearch());
// 2개의 주문서가 있으므로 2번 루프를 반복함
// 하나의 SimpleOrderDto 생성할 때마다 Member, Delivery 쿼리 2번 실행
return orders.stream().map(SimpleOrderDto::new)
.collect(toList());
}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 이유는 Order 엔티티와 연관 관계가 있는 Member, Delivery 엔티티가
FetchType.LAZY
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FetchType.EAGER
로 변경하면 문제를 임시적으로 해결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가장 좋은 해결 방법으로는 Fetch 조인을 사용해서 튜닝을 해야 한다.
Fetch Join
SQL 조인을 활용해서 연관된 엔티티를 한번의 SQL로 모두 조회하는 기능이다.
public List<Order> findAll() {
return em.createQuery(
"select o from Order o" +
"join fetch o.member m" +
"join fetch o.delivery d",Order.class
).getResultList();
}
실제 수행되는 쿼리는 다음과 같다.
select
order0_.order_id as order_id1_6_0_,
member1_.member_id as member_i1_4_1_,
delivery2_.delivery_id as delivery1_2_2_,
order0_.delivery_id as delivery4_6_0_,
order0_.member_id as member_i5_6_0_,
order0_.order_date as order_da2_6_0_,
order0_.status as status3_6_0_,
member1_.city as city2_4_1_,
member1_.street as street3_4_1_,
member1_.zip_code as zip_code4_4_1_,
member1_.name as name5_4_1_,
delivery2_.city as city2_2_2_,
delivery2_.street as street3_2_2_,
delivery2_.zip_code as zip_code4_2_2_,
delivery2_.status as status5_2_2_
from
orders order0_
inner join
member member1_
on order0_.member_id=member1_.member_id
inner join
delivery delivery2_
on order0_.delivery_id=delivery2_.delivery_id
JPA에서 DTO로 바로 조회
쿼리 실행 결과 값을 받을 DTO 클래스 OrderSimpleQueryDto
를 생성한다.
@Data
public class OrderSimpleQueryDto {
private Long order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
private OrderStatus orderStatus;
private Address address;
public OrderSimpleQueryDto(Long orderId, String name, LocalDateTime orderDate, OrderStatus orderStatus, Address address) {
this.orderId = orderId;
this.name = name;
this.orderDate = orderDate;
this.orderStatus = orderStatus;
this.address = address;
}
}
생성자를 이용해서 쿼리 결과 값을 받는다. 이 메서드의 단점은 API에서 사용할 필드 값들이 노출되고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API 변경에 따라 DTO 클래스와 쿼리를 수정해야 한다. 복잡한 쿼리를 조회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Repository
클래스를 생성해서 그 곳에 메서드를 모아 놓는 것이 유지보수 또는 코드 파악에 도움이 된다.
public List<OrderSimpleQueryDto> findOrderDtos() {
return em.createQuery(
"select new com.jayden.shop.repository.order.OrderSimpleQueryDto(o.id, m.name, o.orderDate, o.status, d.address) " +
"from Order o " +
"join o.member m " +
"join o.delivery d", OrderSimpleQueryDto.class
).getResultList();
}
실제 수행되는 쿼리는 다음과 같다.
select
order0_.order_id as col_0_0_,
member1_.name as col_1_0_,
order0_.order_date as col_2_0_,
order0_.status as col_3_0_,
delivery2_.city as col_4_0_,
delivery2_.street as col_4_1_,
delivery2_.zip_code as col_4_2_
from
orders order0_
inner join
member member1_
on order0_.member_id=member1_.member_id
inner join
delivery delivery2_
on order0_.delivery_id=delivery2_.delivery_id
쿼리 방식 선택 순서
- 엔티티를 DTO로 변환한 정보를 내려준다.
- 성능 최적화가 필요하면 페치 조인을 사용한다.
- DTO로 직접 조회하는 방법을 통해 조회하는 컬럼 개수를 줄인다.
- JPA가 제공하는 네이티브 SQL 또는 JDBC Template을 사용해서 SQL을 직접 사용한다.
컬렉션 조회 최적화
Fetch Join
OneToMany 관계의 엔티티들을 Fetch Join
하게 되면, 결과값으로는 One에 해당하는 엔티티 정보가 Many 개수만큼 나오게 된다.
orders
와 order_item
두 테이블을 조인하면 4개의 레코드가 출력된다. 현재 데이터는 orders 테이블에는 행 2개, order_items 테이블에는 행 4개가 있다.
다음과 같이 작성한 코드를 실행하면 반환값으로 Order 엔티티 4개를 갖고 있는 리스트가 반환된다. 실제 필요한 Order 엔티티는 2개임에도 불구하고 중복을 포함해서 4개의 엔티티가 반환된다.
public List<Order> findAllWithItems() {
return em.createQuery(
"select o from Order o " +
"join fetch o.member m " +
"join fetch o.delivery d " +
"join fetch o.orderItems oi " +
"join fetch oi.item i", Order.class
).getResultList();
}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queryString 값에 distinct
키워드를 추가한다. jpa에는 distinct 키워드가 있으면 중복 엔티티를 제거해주고, DB에 날리는 쿼리에도 distinct 문장을 추가해준다.
public List<Order> findAllWithItems() {
return em.createQuery(
"select distinct o from Order o " +
"join fetch o.member m " +
"join fetch o.delivery d " +
"join fetch o.orderItems oi " +
"join fetch oi.item i", Order.class
).getResultList();
}
일대다 관계에서 Fetch Join 하게 되면 페이징 쿼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페이징 쿼리를 날리기 위해서 offset, limit을 설정하면 하이버네이트는 경고 로그를 남기고 메모리에서 페이징을 한다. 실제 DB에 실행되는 쿼리에도 페이징 정보가 담기지 않고 모든 정보를 가져온다.
페이징과 한계 돌파
컬렉션은 지연 로딩으로 조회해서 페이징 처리를 한다. 지연 로딩 최적화와 페이징을 위해서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또는 @BatchSize
를 적용한다.
주문과 주문 목록은 일대다 관계이므로 지연 로딩을 통해 조회한다. 객체 그래프로 탐색하는 순간에 주문 목록에 해당하는 쿼리를 실행하는데, 위에서 말한 옵션을 활성화하면 주문 목록 아이템을 정해진 크기만큼 한번에 조회하는 쿼리를 실행한다.
# order_item 조회
select
orderitems0_.order_id as order_id5_5_1_,
orderitems0_.order_item_id as order_it1_5_1_,
orderitems0_.order_item_id as order_it1_5_0_,
orderitems0_.count as count2_5_0_,
orderitems0_.item_id as item_id4_5_0_,
orderitems0_.order_id as order_id5_5_0_,
orderitems0_.order_price as order_pr3_5_0_
from
order_item orderitems0_
where
orderitems0_.order_id in (
?, ?
);
# item 조회
select
item0_.item_id as item_id2_3_0_,
item0_.name as name3_3_0_,
item0_.price as price4_3_0_,
item0_.stock_quantity as stock_qu5_3_0_,
item0_.actor as actor6_3_0_,
item0_.director as director7_3_0_,
item0_.artist as artist8_3_0_,
item0_.etc as etc9_3_0_,
item0_.author as author10_3_0_,
item0_.isbn as isbn11_3_0_,
item0_.dtype as dtype1_3_0_
from
item item0_
where
item0_.item_id in (
?, ?, ?, ?
)
xToOne 관계는
Fetch Join
으로 조회 최적화를 적용하고, xToMany 관계에서는 지연 로딩과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또는@BatchSize
를 적용해서 조회 성능을 최적화한다.
컬렉션 조회 최적화
XToOne 관계는 Fetch Join을 이용해서 가져오고, XToMany 관계인 엔티티의 경우에 지연 로딩을 통해서 정보를 가져온다. 아래 코드에서 findOrderItemMap
메서드는 주문 아이템 목록을 1번의 쿼리를 통해 모두 가져온다. 단순히 반복문을 돌려서 주문 아이템 정보를 가져오게 되면 N + 1 문제가 발생한다.
@Repository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Query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ublic List<OrderQueryDto> findAll() {
List<OrderQueryDto> result = findOrders();
List<Long> orderIds = toOrderIds(result);
// 주문 아이템 목록을 1번의 쿼리로 가져와서 메모리에서 처리한다
Map<Long, List<OrderItemQueryDto>> orderItemMap = findOrderItemMap(orderIds);
result.forEach(o -> o.setOrderItems(orderItemMap.get(o.getOrderId())));
return result;
}
private List<OrderQueryDto> findOrders() {
return em.createQuery(
"select new com.jayden.shop.repository.order.OrderQueryDto(o.id, m.name, o.orderDate, o.status, d.address) from Order o " +
"join o.member m " +
"join o.delivery d", OrderQueryDto.class)
.getResultList();
}
private Map<Long, List<OrderItemQueryDto>> findOrderItemMap(List<Long> orderIds) {
List<OrderItemQueryDto> orderItems = em.createQuery(
"select new com.jayden.shop.repository.order.OrderItemQueryDto(oi.order.id, i.name, oi.orderPrice, oi.count) from OrderItem oi " +
"join oi.item i " +
"where oi.order.id in :orderIds", OrderItemQueryDto.class)
.setParameter("orderIds", orderIds)
.getResultList();
return orderItems.stream()
.collect(Collectors.groupingBy(OrderItemQueryDto::getOrderId));
}
private List<Long> toOrderIds(List<OrderQueryDto> result) {
return result.stream()
.map(o -> o.getOrderId())
.collect(Collectors.toList());
}
}
플랫 데이터 최적화
단 1번의 쿼리로 모든 데이터를 가져온다. 조인으로 인해서 중복 데이터가 반환되기 때문에 메모리에서 중복을 제거하는 로직이 추가되어야 한다. 조인된 쿼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원하는대로 페이징 처리가 불가능하다.
// 주문과 주문 아이템 정보를 하나의 클래스에 Flat하게 모두 담는다.
List<OrderFlatDto> flats = orderQueryRepository.findAllByDtoFlat();
// 조인된 결과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그룹핑 로직을 추가하면서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고 API 스펙에 맞게 변경한다.
List<OrderQueryDto> data = flats.stream()
.collect(groupingBy(o -> new OrderQueryDto(o.getOrderId(),
o.getName(), o.getOrderDate(), o.getOrderStatus(), o.getAddress()),
mapping(o -> new OrderItemQueryDto(o.getOrderId(),
o.getItemName(), o.getOrderPrice(), o.getCount()), toList())
)).entrySet().stream()
.map(e -> new OrderQueryDto(e.getKey().getOrderId(),
e.getKey().getName(), e.getKey().getOrderDate(), e.getKey().getOrderStatus(),
e.getKey().getAddress(), e.getValue()))
.collect(toList());
API 개발 고급 정리
Repository
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나서 엔티티 조회 또는 DTO 직접 조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성능이 나오지 않은 경우에 Fetch Join을 이용해서 성능을 최적화한다. 다만, 컬렉션의 경우에 Fetch Join을 하게 되면 페이징 처리가 불가능해진다.
컬렉션은 Fetch Join 대신 지연 로딩을 유지하고,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또는 @BatchSize
로 최적화한다.
- 엔티티 조회
- DTO 직접 조회
권장 순서
1.엔티티 조회 방식으로 접근
- Fetch Join으로 쿼리 수를 최적화
- 컬렉션 최적화
1.페이징 필요: 옵션 사용해서 최적화
2.페이징 필요없음: Fetch Join 사용
2.엔티티 조회 방식으로 해결이 안되면 DTO 조회 방식 사용
3.DTO 조회 방식으로 해결이 안되면 Native SQL or Spring JdbcTemplate 사용
OSIV(Open Session In View)와 성능 최적화
OSIV(Open Session In View)
spring.jpa.open-in-view
설정은 true가 기본값이다.
OSIV 설정 값이 true이면, 트랜잭션 범위가 끝나도 영속성 컨텍스트를 API 응답 및 뷰 템플릿 페이지에 렌더링 할 때까지 유지한다. 이러한 이유로 뷰 템플릿 또는 API 컨트롤러에서 지연 로딩이 가능한 것이다.
지연 로딩은 영속성 컨텍스트가 살아 있어야 가능하고, 영속성 컨텍스트는 기본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유지한다. 이 부분이 장점이자 단점이다.
단점으로는 오랜 시간 동안에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리소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실시간 트래픽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커넥션이 부족해서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OSIV 설정 값을 false로 변경하면 트랜잭션 범위에서만 영속성 컨텍스트를 유지한다. 컨트롤러에서는 이미 영속성 컨텍스트가 닫히고 커넥션 리소스를 데이터베이스에 반납했기 때문에 트랜잭션 범위 밖에서 지연 로딩을 할 수 없다.
장점으로는 커넥션 리소스를 짧은 기간 동안만 사용한다는 것이다.
단점으로는 지연 로딩 관련된 코드를 모두 트랜잭션 안에서 처리하도록 해야 한다. 뷰 템플릿에서도 지연 로딩이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트랜잭션이 끝나기 직전에 지연 로딩을 강제로 호출해야 한다.
커맨드와 쿼리 분리
실무에서 OSIV 설정 값을 끈 상태에서 복잡성을 관리하는 좋은 방법은 커맨드와 쿼리를 분리하는 것이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gback JSON 포맷으로 출력하기 (1) | 2020.02.28 |
---|---|
스프링 데이터 JPA와 Querydsl 인프런 강의 정리 (2) | 2020.02.03 |
Spring Security 인프런 강의 정리 (2) | 2019.09.05 |
Spring 파일 업로드 구현 및 파일 크기 설정 (0) | 2019.07.26 |
ServletContextListener 이벤트 처리 (0) | 2019.07.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