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11

Python 리스트 크기 구하기 listA = [1,2,3,4,5] listB = [6,7,8] listC = listA + listB size = len(listC) print(size) 2019. 6. 7.
Python 두 개의 리스트 합치기 listA = [1,2,3,4,5] listB = [6,7,8] listC = listA + listB print(listC) 2019. 6. 7.
Python에서는 &&, || 연산자 대신 and, or 사용 Python 논리연산자는 and, or 이다. 논리연산자의 경우에 두 개 이상의 조건식을 조합하여 표현할 때 주로 사용한다. and 논리 연산자 if i in dictA and i in dictB: print('i 값이 dictA와 dictB 딕셔너리에 키 값으로 존재합니다.'); or 논리 연산자 if i in dictA or i in dictB: print('i 값이 dictA 또는 dictB 딕셔너리에 키 값으로 존재합니다.'); 2019. 6. 7.
Python에서 printf 함수처럼 print 함수 사용하는 방법 % 스타일 포맷팅 print("%d %s" % (10000, 'lelecoder'), end='') {} 스타일 포맷팅 print("number={0}, name={1}".format(10000, 'lelecoder')) 2019. 6. 6.
Python 리스트의 원소들을 2개씩 묶어서 합 구하기 자연수 N을 입력 받아서 N개의 1 이상 5 이하의 난수로 이루어진 리스트 a를 생성한다. 생성된 리스트의 원소들을 2개씩 묶어서 합을 구한 다음 새로운 리스트 b를 구하라. import random def twoSum(a, n): b = [] for i in range(0, n, 2): if (i == n-1): b.append(a[i]) else: b.append(a[i] + a[i+1]) return b; N = int(input('N = ')) a = [] # N 개수 만큼 1 이상 5 이하 난수로 이루어진 숫자 생성 for i in range(N): a.append(random.randrange(1, 6)) print('a =', a) print('b =', twoSum(a, N)) 2019. 5. 11.
Python 중복 데이터 없이 정수를 입력 받아서 소수와 비소수의 합 구하기 중복되는 데이터 없이 정수를 입력 받아서 리스트 a를 만든다. 리스트의 원소 중 비소수의 합과 소수의 합을 출력하는 함수를 작성한다. 만약 2보다 작은 수를 입력하면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import math def isPrime(n): sqrt = int(math.sqrt(n)) + 1 for i in range(2, sqrt): if n % i == 0: return False return True def printPrime(a): primeResult = 0 nonPrimeResult = 0 for i in range(len(a)): if isPrime(a[i]): primeResult += a[i] else: nonPrimeResult += a[i] print('소수의 합 : ', primeR.. 2019. 5. 11.